메인홈 로그인 로그아웃 미니홈 메뉴관리 미니홈 기본설정 미니홈통계
굿닥터동물병원
진료후기
애견미용
동물상식
공지사항
반려조 질병상식 / 상세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신고하기
앵무새 콕시듐증 (Coccidiosis)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반려조 질병상식 > 상세보기 | 2016-10-19 15:05:50
추천수 921
조회수   4,187

글쓴이

굿닥터동물병원 친구추가

제목

앵무새 콕시듐증 (Coccidiosis)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내용

    [Dr. Owl] 콕시듐증 (Coccidiosis)

 

1. 정의

콕시듐증은 육계 뿐만 아니라 조류 및 포유동물에서 장관 상피에 감염하여 장염과 설사를 주증으로 하는 원충성 질환입니다. 

 

무덥고 비가 잦은 여름철의 온도와 습도가 높은 계절은 콕시듐이 발생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왜냐하면 원충의 낭포(Oocyst, 오오시스트)는 높은 습도와 온도에서 포자충(Sporulated Oocyst)으로 성숙되어야 감염을 시킬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콕시듐에 감염된 후 불현증 상태로 있다가, 고온 다습한 스트레스 환경에서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충의 종류나 새의 건강 상태 그리고 감염된 포자충의에 따라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고, 보균상태로 남아서 낭포(Oocyst)만 배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콕시듐증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지만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새에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한 마리의 새가콕시듐에 감염되면 약 100,000배로 증가한 낭포을 배출하여 동거하는 모든 새가 콕시듐의 위험에 직면하는 것입니다. 낭포는 외계 환경에 대해 저항성이 크고 화학제에 강하게 저항하며 자연환경에서 1~2년간 감염성을 보유합니다.

 

2. 전파

분변으로 배출된 낭포는 높은 온도와 습도에서 쉽게 감염형인 포자충으로 성숙하게 되고 사료, 충란에 오염된 음수 등을 통해 감염이 됩니다.

 

3. 원인체

조류에 감염되는 콕시듐은 세개의 종(Eimeria, Isospora, Caryospora spp.)으로 나뉩니다. 이들 원충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종에만 감염하는 숙주특이성을 가집니다.

 

-Isospora는 앵무, 휜치, 딱따구리류에 특이적으로 감염됩니다.

-Eimeria는 닭, 비둘기류에 특이적으로 감염됩니다.

-Caryospora는 맹금류에 특이적으로 감염됩니다.

 

흔히 양계에서 큰 피해를 입혀서 유명한 Eimeria는 앵무나 휜치에 감염되는 것과는 다른 종입니다.

 

4. 증상

점액성 & 출혈성 설사를 동반한 장염, 털부불림, 빈혈, 기면, 식욕저하, 체중저하를 동반하며, 만성형의 경우 점진적인 체중감소로 칼가슴(going light)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콕시듐의 특징적인 증상인 혈변이나 점액변을 본다고 해서 정확한 진단없이 콕시듐 약을 임의로 투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예를들어 Clostridium spp.과 같은 병원균에 감염되어도 혈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한 종의 콕시듐에 감염된 후에는 동일 종의 콕시듐에 면역력이 생기나 다른 종에는 면역력이 생기지 않습니다.

 

5. 치료

수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콕시듐제를 몇일간 투여하고, 다시 일정간격 후에 재투여해야 콕시듐증을 완전히 치료할 수 있습니다. 수의사의 처방에 의한 정확한 투여량과 투여계획 없이 투약할 경우 완전한 치료를 기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항콕시듐제에 대한 내성만 키울 수 있습니다.

 

만일 콕시듐이 감염되면 동거하는 모든 새를 동시에 치료하는 것이 옳습니다.

 

6. 예방

우선 암모늄계 소독제가 콕시듐 낭포에 유효하므로, 이 소독제로 새장 및 분변통, 물통, 모이통을 자주 세척해 주어야합니다.

 

새가 스트레스 환경(고온, 저온, 다습)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면역력이 약해져 콕시듐에 쉽게 감염되어 발증되고 콕시듐 낭포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쉽게 감염형으로 변하므로 가급적 건조하고 온화한 사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01 | 콕시듐의 Oocyst (낭포)

 

콕시듐의 낭포는 분변으로 배출되어 오염된 물이나 사료 등으로 감염됩니다. 한개의 낭포는 체내에서 10만개 이상으로 폭발적으로 증식하게 되므로 전파력 또한 굉장히 높습니다.

 

 

02 | 혈변 & 점액변

 

혈변이나 점액변을 동반한 설사는 콕시듐증의 주증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증상을 가지는 감염증이 있으므로 수의사에 의한 검사후에 올바른 약제와 투약량(법)을 처방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지역

경기도 군포시 당동
추천 스크랩 소스보기
수정삭제답변목록
글쓴이가 작성한 글
+ 더보기
게시판명 제목 조회수 추천수 등록일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복수/복부팽만 6002 1811 2018-01-11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코염증/비석 [군포굿닥터동... 5767 2087 2017-12-29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다리골절/대퇴골절 [군포굿... 5644 1453 2017-12-18
goodDr - 반려견 건강상식 강아지 슬개골탈구 수술 [군포굿닥... 5153 1291 2017-12-18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부리기형 (부리트리밍) [군... 5739 1923 2017-12-04
goodDr - 반려견 건강상식 강아지(고양이) 스케일링/치석제거 ... 6669 1865 2017-11-20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개선증 (Cnemidocoptes) [군... 6243 1269 2016-10-19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구토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6976 1263 2016-10-19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탈수 및 응급처치 [군포 굿... 6662 1845 2016-10-19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소낭 질병 [군포 굿닥터동물... 8751 1363 2016-10-19
이전게시글 앵무새 털갈이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2016-10-19 15:03:12
다음게시글 앵무새 부리(Beak)와 영양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2016-10-19 15:09:45
카피라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