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홈 로그인 로그아웃 미니홈 메뉴관리 미니홈 기본설정 미니홈통계
굿닥터동물병원
진료후기
애견미용
동물상식
공지사항
반려묘 건강상식 / 상세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신고하기
앵무새 PBFD: 탈모, 털빠짐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반려묘 건강상식 > 상세보기 | 2016-10-19 10:30:00
추천수 1610
조회수   8,243

글쓴이

굿닥터동물병원 친구추가

제목

앵무새 PBFD: 탈모, 털빠짐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내용

[Dr. Owl] PBFD (Psittacine Beak and Feather Disease) 

[굿닥터동물병원 in 군포]

[031 391 7533]​

 

 

오늘 포스팅은 앵무새의 깃털과 부리에 문제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FBFD (Psittacine Beak and Feather Disease)라는 영어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질병은 앵무의 부리와 깃털에 문제를 일으키고 면역억압을 통해 세균이나 곰팡이의 이차적인 감염을 일으켜서 낙조에 이르게 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 

 


[PBFD의 주된 증상: 깃털의 탈모, 경감염된 사진(왼쪽), 중감염된 사진(오른쪽)] 

 


[PBFD의 주된 증상: 부리의 과도한 발육(왼쪽) 부리의 변형(오른쪽)]

앵무새에서 면역억압과 함께 깃털에 이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Circovirus와 polyomavirus가 대표적인데,

 오늘 공부할 PBFD의 원인체는 Circovirus입니다. 

 

이 바이러스가 좋아하는 감염부위는 조류의 면역을 담당하는 흉선/배설강낭과 깃털낭(모낭)입니다.  

따라서 탈모, 깃털 색의 변화, 깃털형태의 기형 등과 같은 깃털이상 및 부리의 이상 그리고 면억억압이 이 질병의 가장 큰 특징이죠. 

 

이 질병은 면역력이 약한 3살 이하의 아성조, 특히 2~4주 사이의 이유조에서 가장 감수성이 높습니다. 또한 모든 종류의 앵무새에  

감염되며, 왕관앵무와 같은 호주산 앵무는 이 질병에 강한 특성을 가지며, 회색 및 코카투앵무가 이 바이러스에 약하다고 합니다. 

 

 

우선, 이 질병에 대한 병증의 경과는 네가지로 구분되는데요. 

첫째, 과급성의 PBFD 

주로 막 알에서 부화한 회색앵무와 코카투에서 발생하며, 브리더들은 어린이유조의 사망률이 갑작스럽게 증가한다고 보고하는데요.

대부분 특별한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고 대부분의 이유조들이 낙조를 하게 됩니다.  

때로는 폐렴과 같은 호흡기 증상과 설사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둘째, 급성의 PBFD

주로 이유 중이거나 이유가 막 끝난 아이들 혹은 한살 미만의 아이들이 이러한 경과를 보이는데요.

 면억억압 때문에 세균과 곰팡이의 이차적인 감염에 기인한 폐렴과 설사가 주증입니다. 또한 깃털과 부리에 나타나는 증상은 파우더(비듬)의 갑작스러운 감소, 원래부터 매끈하지 못한 부리를 가진 회색이나 코카투의 부리가 갑자기 빛나고 짙은 검정색의 부리로 변하게 됩니다. (하지만 빛나고 매끈한 검정부리가 모두 병적인 것을 의미하는 건 아닙니다.) 

 



 

[코카투에서 빛나는 검은부리와 지저분한 깃털은 PBFD의 전형적인 증상이고, 첫번째 증상은 파우더의 감소입니다]

 

셋째, 만성의 PBFD

만성의 경과는 주로 성조에 나타나는데요.

주증은

-깃털의 탈모, 깃털/깃대의 변형, 깃촉 부분에 혈액 찌꺼기의 잔존, 빨대깃의 잔존, 깃털의 위축, 깃털색의 변화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회색앵무와 코카투에서 부리가 빛나는 검정색으로 변화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부리와 발톱이 괴사되어 잘 부러지며, 기형의 형태로 또는 과도하게 자라는 증상을 보입니다.

-특히 꼬리깃이 대칭적으로 탈모되는데, 보호자들은 대부분 깃털을 자해한다고 하지만, 결국 머리의 깃털까지 빠지게 되므로 자해가 아님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아이들이 깃털색의 변화를 보이는데요. 블루는 화이트로, 그린은 옐로우로 색이 바뀌게 됩니다.

 


[PBFD의 증상: 깃대의 변형, 부러짐, 위축] 


[PBFD의 증상: 꼬리깃의 대칭적 탈모, 전신적 탈모, 머리의 깃까지 탈모되므로 자해와 구분됨] 

 

넷째, 잠복감염 형태의 PBFD

면역력이 강한 성조에서 주로 나타나는데요.

증상은 보이지 않으면서 바이러스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잠복감염의 앵무가 무리에 있는 경우  

지속적으로 무리를 오염시키고, 이 아이를 찾을 방법이 마땅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골치아픈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주로 잉꼬, 왕관앵무, 코카투에서 이러한 경과를 보이는 아이가 발생한다고 하네요. 

 

예후는요.

위에서 언급한 병증의 특징에 따라 다릅니다.

어떠한 아이들은 임상증상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몇십년을 생존하는 아이도 있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면역억압 때문에 발병 후 2년을 넘기기가 힘들다고 합니다. 몇몇의 앵무들 특히 로리앵무는 이 바이러스에 강하여 감염 후에도 회복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치료 및 관리법은요.

우선,

바이러스성 감염증의 특성상 특별한 치료법이 없습니다만, 항바이러스제(Avian interferon)를 써 볼 수 있지만 국내에서 구할 수도 없을 뿐더러, 구한다 하더라도 효과가 확실한지는 증명되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보조요법으로 면역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비타민A, 프로보틱(생균제) 등을 급여하며 조금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 외 여러가지 민간요법이 있는데요.  

예를 들면 홍삼, 초유밀(일동후디스) 등을 급여해 볼 수 있지만, 이 또한 도움이 된다 할지라도 근본적인 치료법은 될 수 없겠지요. 

 

두번째, 

이 감염증에 의한 주된 사망원인은 세균인 곰팡이에 의한 이차감염이므로 아이의 생활환경을 최대한 청결히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세번째,

감염이 의심되거나 확인된 개체는 별도의 공간에 격리해야 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파우더, 변, 소낭내용물 등을 통해 전염되므로 감염된 아이와 관련된 모든 물품은 유효한 소독제로  

지속적으로 소독하셔야 합니다.  

PBFD에 유효한 소독제는 이미 포스팅 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http://blog.naver.com/36runway/40187508291 

특히 감염원인 파우더(비듬)는 옷이나 피부에 쉽게 오염되며 제거도 어렵기 때문에 소독제 등을 통해 충분히 소독하셔야 합니다. 

 

진단은요.

조직병리학적, 혈청학적, 분자생물학적 진단법이 있습니다만, 이러한 진단법들은 모두 국내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실정입니다.  

현재 저희 병원의 환자 중에 PBFD가 강하게 의심되는 아이가 있어서요.  

PBFD의 진단이 가능한 국외의 수의과대학병원 및 연구소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저희병원에 의뢰된 PBFD 의심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아이는 2개월 령의 청금강앵무 입니다.

꼬리의 가시깃(Pin feather, Blood feather)의 위축, 변형, 색의 변화, 부서짐, 빨대깃의 잔존 등이 확인됩니다.  

그리고 현재 호흡곤란이 확인된 상태라 우선 호흡기에 대한 이차적인 감염증을 치료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 아이의 증상 및 관련 내용을 호주의 병원 및 대학 등에 송부하였고, 진단검사를 위한 문의를 한 상태입니다. 우선적으로 가장 의심이 되는 두가지 바이러스에 대한 진단검사가 가능하고, 검사비나 시료의 송부와 관련된 사항만 허용된다면 꼭 검사를 해보고 싶네요.  

제가 본 환자 중에 PBFD와 가장 임상증상이 유사한 케이스라서 꼭 확인해 보고 싶구요. 그 결과 또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지역

경기도 군포시 당동
추천 스크랩 소스보기
수정삭제답변목록
글쓴이가 작성한 글
+ 더보기
게시판명 제목 조회수 추천수 등록일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복수/복부팽만 6009 1813 2018-01-11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코염증/비석 [군포굿닥터동... 5779 2089 2017-12-29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다리골절/대퇴골절 [군포굿... 5656 1454 2017-12-18
goodDr - 반려견 건강상식 강아지 슬개골탈구 수술 [군포굿닥... 5161 1291 2017-12-18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부리기형 (부리트리밍) [군... 5746 1924 2017-12-04
goodDr - 반려견 건강상식 강아지(고양이) 스케일링/치석제거 ... 6677 1866 2017-11-20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개선증 (Cnemidocoptes) [군... 6255 1270 2016-10-19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구토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6986 1264 2016-10-19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탈수 및 응급처치 [군포 굿... 6676 1846 2016-10-19
goodDr - 반려조 질병상식 앵무새 소낭 질병 [군포 굿닥터동물... 8756 1364 2016-10-19
이전게시글 앵무새 Polyoma virus: 깃털이상, 탈빠짐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2016-10-19 10:24:35
다음게시글 왕관앵무새 소화불량 및 식체 [군포 굿닥터동물병원] 2016-10-19 10:32:39
카피라이터